분류 전체보기179 2019년 5월 2주차 - "'1兆 적자' 쿠팡, 협력사에 수수료 인상·공급단가 인하 통보" 1. '1兆 적자' 쿠팡, 협력사에 수수료 인상·공급단가 인하 통보 거듭되는 적자에도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며 오픈마켓 브랜드 평판 1위의 자리를 지키고 있는 쿠팡이 이전과 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로켓배송 납품업체에 공급단가를 최소 5%에서 최대 15%까지 인하할 것을 요구하였으며, 오픈마켓 업체에 대해서는 수수료 5% 안팎 인상 및 광고비·성장 장려금의 두 배 인상을 통보했다고 합니다. 이로 인해 업체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으며, 일부 업체들의 경우 계약 해지까지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규모가 작은 회사의 경우 쿠팡과의 계약 해지 시 매출에 큰 타격을 입을 수 있어, 결국 수수료 인상의 불이익은 소비자에게 돌아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1조원이 넘어간 영업손실은 물류창고 확대 등 기.. 2020. 10. 12. 2019년 5월 1주차 - "USIM 시대 가고, eSIM 시대 온다" 1. USIM 시대 가고, eSIM 시대 온다 eSIM은 embedded SIM을 의미하는 것으로,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탈착형 SIM 카드와는 조금 다른 칩입니다. eSIM은 고유 식별자가 있다는 점에서 기존 SIM과 동일하나, 물리적인 카드가 아니라 단말기에 내장된 작은 칩으로, 모듈에 사용자 정보를 소프트웨어로 내려받는 형식입니다. eSIM을 사용할 경우 사용자 정보가 복수의 스마트 기기에서 연동될 수 있으므로, SIM 카드를 살 필요 없이 사용자 정보를 인터넷상에서 내려받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해외에서 현재 번호와 동일한 번호로 개통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그리고 USIM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작고, 물리적으로 탈착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갤럭시 워치나 애플 워치 등의 웨어러블 기기에서 많이 사용.. 2020. 10. 12. Springboot-Angular-JWT 기반 Auth 구현 - refresh token 추가 이번 포스트에서는 지난 포스트에서 미구현했다고 언급한 refresh token을 추가하여, 인증 구조를 변경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세션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액션이 있으면 세션의 만료 시각이 액션이 일어난 시각으로부터 재설정됩니다. 그러나 이전 포스트의 소스코드는 로그인한 시점에 JWT를 생성했고, 그 시점에 token의 만료 시각이 정해집니다. 따라서 로그인 이후, 사용자의 액션이 계속 일어나도 만료 시각이 지나면 로그인이 해제되는 구조가 됩니다. 이러한 구조를 보완하기 위해 refresh token이라는 또 다른 token을 생성합니다. (지금까지 token이라고 명명했던 것을 앞으로는 access token이라고 칭하겠습니다.) refresh token은 access token의 만료 기간보.. 2020. 10. 12. 2019년 4월 4주차 - "이커머스 분류와 트렌드 전망" 1. 이커머스 분류와 트렌드 전망 현재 이커머스는 용어의 홍수 속에 빠져 있습니다. 단순히 전자상거래 전체를 이커머스라고 통칭하던 시대는 지났습니다. 또한 스마트폰의 보급과 인터넷 TV의 등장으로 M-커머스(Mobile Commerce), T-커머스(TV Commerce)라는 말이 등장하고 쓰였던 때와는 또, 다른 국면에 들어섰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마치 용어를 선점하는 자가 트렌드를 주도하기라도 하는 듯이, 우후죽순 새로운 용어들이 출현하고 있습니다. 이는 이커머스에 AR이나 인공지능 등 미래형 기술들이 접목되기 시작하면서 더욱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이 글에서는 이렇게 나타난 새로운 이커머스 분류 용어에 대해 설명하고, 2019년 이커머스의 트렌드는 어떠한 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미디.. 2020. 10. 12. WebSocket의 동작원리 웹소켓은 HTTP로 Handshake를 한 후 ws로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웹소켓 프레임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웹소켓은 양방향 통신(full-duplex)을 지원하며, 그래서 요청과 응답을 구분하지 않습니다. 크게 붉은 박스로 표시된 Opening Handshake와 노란 박스로 표시된 Data transfer, 보라색 박스로 표시된 Closing Handshake,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먼저 핸드 셰이크로 연결하는 부분을 살펴보겠습니다. (1) Opening Handshake 웹소켓 클라이언트에서 핸드쉐이크 요청(HTTP Upgrade)을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핸드 셰이크 응답을 받는데, 이때 응답 코드는 101입니다. 101은 '프로토콜 전환'을 서버가 승인했음을 알리는 .. 2020. 10. 12. 2019년 4월 3주차 - "홈쇼핑·T커머스·온라인쇼핑, 'TV 밖 방송' 정면 충돌" 1. 홈쇼핑·T커머스·온라인쇼핑, 'TV 밖 방송' 정면 충돌 인터넷 방송이라는 매체가 많은 사람들에게 친숙해진 만큼, 방송 판매 시장에도 변화가 찾아왔습니다. 이달에만 롯데홈쇼핑, 신세계 TV쇼핑, NS홈쇼핑이 각각 실시간 모바일 방송 채널을 론칭했습니다. 신세계 TV쇼핑의 경우 유튜브에서 생방송 콘텐츠를 선보이기도 했습니다. '영상'을 공통분모로 한 비즈니스 채널 확대가 이커머스 기업들 사이에서 퍼지고 있는 이유는 크게 아래와 같이 분석됩니다. 유튜브, SNS 등에서 영상을 시청하고 공유하는 문화 확산 영상이라는 직관적 컨텐츠 - 글, 스틸 사진보다 제품 홍보가 쉬움 '방송법' 영향을 받지 않는 모바일 플랫폼 - 다양한 콘셉트와 연출 시도 가능 홈쇼핑 방송보다 짧은 분량으로 빠른 신규 프로그램 제작 .. 2020. 10. 12. HttpSession은 "언제" 만들어질까? 이 글에서는 Tomcat이 WAS가 아닌 Servlet Container라는 것을 인지하고, HttpSession이 언제 만들어지고, 어떻게 사용하는지, Session은 어떻게 유지되는 것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Tomcat은 WAS? No! Just Servlet Container!] JAVAEE는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만든 표준이고, 수많은 클래스/인터페이스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JAVAEE 6.0의 스펙에는 Web Services, Web Application, Enterprise Application, Management and Security 기술들이 정의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이 스펙을 모두 구현한 모델을 WAS라고 칭합니다. 우리가 흔히 WAS로 알고 있는 tomcat은 JA.. 2020. 10. 12. 2019년 4월 2주차 - "'얼마나 다를까' 5G 핵심 기술의 정의 및 4G와의 차이" 1. '얼마나 다를까' 5G 핵심 기술의 정의 및 4G와의 차이 바야흐로 5G 시대가 찾아왔습니다. 2019년 4월 3일 5G가 상용화되어 이미 5G를 사용하는 고객들이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5G가 뭐가 다른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잘 모릅니다. 이 글에서는 4G와 5G의 차이를 간략히 정리하고자 합니다. 4G (Today, Before Further Developments) 5G Latency 10 ms Less than 1 ms Peak data rates 1 Gbps 20 Gbps Number of mobile connections 8 billion (2016) 11 billion (2021) Channel bandwidth 20MHz 100MHz below 6GHz 200kHz (fo.. 2020. 10. 12. WebSocket? 웹소켓이란? 웹소켓(WebSocket) 프로토콜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신속하고 보안이 유지된 양방향 통신을 위한 메커니즘입니다. 웹소켓이라는 단어가 우리에게 더 이상 낯설지 않을 정도로, 웹소켓은 실시간 웹 애플리케이션 구현을 위해 널리 사용됩니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Socket 연결을 유지함으로써 양방향 통신 및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로 작동 원리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트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웹소켓은 HTTP 위에서 동작하는 HTML5의 표준으로,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실시간 양방향 통신(full-duplex) 80 / 443 포트를 사용 => 추가로 방화벽을 열거나, CORS(Cross Origin Resource Sharing) 적용 혹은 인증 등의 과정을 변경할 .. 2020. 10. 12. 2019년 4월 1주차 - "'월드 와이드 웹'의 아버지, 웹의 변화를 외치다" 1. '월드 와이드 웹'의 아버지, 웹의 변화를 외치다 월드와이드웹의 아버지 버너스 리는 웹에 대한 악/오용에 대해 강한 우려를 표하고 있습니다. 그는 IT기업들의 정보 독점에 문제를 느끼고 웹 분권화 운동을 벌이고 있으며, 오픈웹 원칙이 보호받아야 한다고 말합니다. 버너스 리가 거론하는 악/오용 사례는 세 가지로, 아래와 같습니다. 해킹이나 사이버 공격, 범죄 행위나 온라인 괴롭힘과 같이 고의성과 악의성이 다분히 묻어나는 행위 낚시성 컨텐츠나 가짜 뉴스와 같이 사용자의 권익을 침해하는 문제가 있는 수익 모델 공격성이나 양극화된 논쟁 같은 의도치 않은 결과들 버너스 리는 과학자들이 쉽게 자료를 공유하도록 돕기 위해 웹 기술을 고안했고, 이 기술을 전면 공개하면서도 일체의 금전적인 이득을 취하지 않았습니다.. 2020. 10. 12.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