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78

2019년 11월 3주차 - "'빨간불' 켜진 유통街, '비상 경영' 선언한 오너들" 등 1. '빨간불' 켜진 유통街, '비상 경영' 선언한 오너들 오프라인 유통 업체들이 휘청대고 있습니다. 경기불황으로 내수 시장은 얼어붙는데 다수의 온라인 쇼핑채널이 강세를 보이면서, 실적 부진이 이어지고 있는 탓입니다. 이에 롯데, 신세계, CJ 등 유통 대기업들이 비상경영에 돌입하여, 생존을 위해 투자보다는 수익성 위주로 사업을 전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롯데그룹의 경우, 지난해 '어려워도 투자에 적극 나서 국가 경제에 이바지해야 한다'라고 강조한 지 1년 만에 모든 계획에 대한 재검토를 시작했습니다. 그룹 매출의 양 축을 담당하는 유통(29.1%)과 화학(24.9%)의 실적 악화가 가장 큰 이유로 보이며, 실제로 롯데쇼핑의 경우 여전히 여파가 남은 중국 사드 보복과 일본 제품 불매 운동으로 인해 지난 3.. 2020. 11. 15.
2019년 11월 2주차 - "'데이터로 새판 짜자'…SK, 클라우드 활용 `디지털 딥체인지`" 등 1. "데이터로 새판 짜자"…SK, 클라우드 활용 `디지털 딥체인지` SK그룹이 2022년까지 3조 원을 투입해 전 계열사 주요 시스템 80%를 클라우드로 전환하고 데이터 드리븐 기업으로 거듭나겠다는 포부를 밝혔습니다. 인프라스트럭처를 서버 체제에서 클라우드로 바꾸는 수준이 아니라, '딥 체인지'라고 표현할 정도로 기존 자원을 모두 버리고 디지털 기업으로 탈바꿈시키겠다는 결단입니다. 구체적으로 멀티 클라우드 서비스의 개발, 애플리케이션별 마이크로 서비스 개발 및 통합, AI·빅데이터 분석 시스템 개발을 본격화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이를 위해 지난달 14일 마이크로소프트의 애저 국내 1위 클라우드 매니지드 서비스 기업(MSP)인 '클루커스'의 지분(18.84%)을 인수했습니다. 그룹과 관계사에 대한 클라우.. 2020. 11. 15.
[최신 웹 프론트엔드 개발환경 세팅] 4. 개발환경 세팅 4) 개발환경 세팅 대표적으로 ES6+ 문법이 실행되지 않는 브라우저인 인터넷 익스플로러(IE)에서 ES6+로 작성된 코드가 정상적으로 실행되도록 만들기 위해, 개발환경을 세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은 윈도우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따라서 사용된 명령어들은 cmd 명령어임을 미리 말씀드립니다. (1) Babel 설치 //프로젝트 폴더 생성 mkdir es6-demo //package.json 생성 npm init -y //babel 설치 npm install --save-dev @babel/core @babel/cli 바벨을 설치하기 앞서 npm 프로젝트를 먼저 생성합니다. 프로젝트마다 환경이 상이하기 때문에, 로컬로 설치하기 위하여 프로젝트 폴더를 생성해줍니다. 기본 필수 패키지인 바벨 코어와 커.. 2020. 11. 15.
2019년 11월 1주차 - "네이버VS카카오 '금융공룡'으로 진화하는 IT공룡들" 1. 네이버VS카카오 '금융공룡'으로 진화하는 IT공룡들 네이버와 카카오가 금융 서비스를 공격적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이미 두 기업 모두 4천만 명 이상의 고객을 확보한 상태로, 막대한 규모의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만큼 금융에 있어 얼마나 더 커질지 기대가 됩니다. 네이버는 지난 1일 금융전문회사 '네이버 파이낸셜'을 분사함으로써, 네이버 페이를 분사하고 '네이버 통장'을 내놓았습니다. 이는 주식과 보험, 신용카드까지 아우르는 종합 금융 플랫폼으로 뻗어나가겠다는 전략으로 보입니다. 다만 네이버 페이와 제휴사 통장을 연계하여 출시하는 모양새를 보아, 직접적으로 인터넷은행에 뛰어들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카카오는 카카오 뱅크와 간편 결제 서비스 카카오페이로 하여금 이미 본격적인 금융업을 전개하고 있습니.. 2020. 11. 15.
2019년 10월 5주차 - "생존 위해 적과 손 잡았다, SKT·카카오 '3000억 지분동맹'" 등 1. 생존 위해 적과 손 잡았다, SKT·카카오 '3000억 지분동맹' 카카오의 확장이 멈출 줄 모르고 뻗어나가고 있습니다. 지난주에 이어, 이번 주에도 카카오에 대한 뉴스입니다. 카카오와 SKT가 사업과 서비스뿐만 아니라 연구개발(R&D) 영역까지 협력하는 지분 동맹을 맺었습니다. 카카오가 SKT의 지분을 1.6%, SKT가 카카오의 지분을 2.5% 보유하게 되었습니다. 크게 통신과 커머스, 디지털 콘텐츠, 미래ICT 4개 분야에 있어 협력 체계를 만들어갈 예정이라고 하는데, SKT가 보유한 5G와 통신 인프라, 미디어 서비스와 카카오의 플랫폼, 컨텐츠 역량이 합쳐졌을 때, 어떤 시너지가 일어날지 기대가 됩니다. 무엇보다도 SKT의 자회사인 11번가와 카카오 쇼핑의 연계에 주목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2020. 1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