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78 [최신 웹 프론트엔드 개발환경 세팅] 3. Babel? Webpack? 3) Babel? Webpack? 최신 프론트엔드 개발 환경에서 Babel과 Webpack은 거의 필수적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 React나 Angular, Vue 등을 사용하는 경우는 물론, 코드 작성 시 ES6+를 이용한다면 역시 마찬가지로 Webpack과 Babel을 필요로 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ES6의 대표적인 기능인 Template Literal을 사용했다고 가정해 봅시다. 보이는 바와 같이 IE에서는 템플릿 리터럴을 지원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최신 브라우저 버전 기준이며, 다른 브라우저에서도 버전에 따라 지원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크롬이야 실행만 해도 최신버전으로 관리되지만, IE나 사파리는 사용자가 별도로 업데이트하지 않는 한 처음 OS에 설치한 버전.. 2020. 11. 15. 2019년 10월 4주차 - "판 커지는 미디어커머스 시장...카카오도 참전" 1. 판 커지는 미디어커머스 시장...카카오도 참전 (+보고플레이, "누구나 쇼호스트" 1인방송 쇼핑 플랫폼) 유튜브와 같은 실시간 라이브 방송이 대중화되면서, 이커머스에 동영상이 접목된 미디어커머스가 최근 자주 언급되고 있습니다. 시장에서 미디어커머스의 영향력이 늘어나고 있는 것을 방증이라도 하듯 카카오 역시 자사 커머스에 미디어를 도입했습니다. 지난 5월 4주차 - "카카오 커머스, 2인 공동 구매 서비스 '톡딜' 선보여"에서 다루었던 '톡딜' 서비스에 라이브를 도입하여, '톡딜 라이브'라는 이름의 생방송 판매 서비스를 출시한 것입니다. 톡딜 라이브는 카카오TV와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처음 방송되었는데, 이러한 형태의 판매는 티몬 역시 2017년부터 '티비온'이라는 서비스를 통해 진행해오던 것입니다... 2020. 11. 15. 2019년 10월 3주차 - "더존비즈온, 위하고 기반 이커머스 플랫폼 사업 본격화" 1. 더존비즈온, 위하고 기반 이커머스 플랫폼 사업 본격화 국내 ERP 솔루션으로 손가락에 꼽히는 더존비즈온이 이커머스 사업으로 손을 뻗고 있습니다. 내달 오픈하는 웹빌더 서비스가 바로 그것입니다. 웹빌더란 홈페이지나 쇼핑몰에 대한 지식 없이도 웹을 쉽게 제작하고 운영할 수 있는 플랫폼 서비스로, Wix나 식스샵 등이 대표적입니다. 최근 가비아와 NHN Godo 등의 기업들도 웹빌더 사업을 키우고 있는데, 여기서부터 이커머스 사업을 시작해보겠다는 것이 더존비즈온의 포석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더존비즈온은 자사의 비즈니스 플랫폼인 '위하고(WEHAGO: 회사 경영에 필수적인 경영관리부터 원활한 협업을 위한 서비스와 부가서비스까지 한 곳에서 사용할 수 있는 비즈니스 플랫폼)'를 기반으로 하여, 이커머스 기업용.. 2020. 11. 15. [최신 웹 프론트엔드 개발환경 세팅] 2. NPM이란? 2) NPM이란? NPM(Node Package Manager)은 자바스크립트 언어를 위한 패키지 관리자로, Node.js의 기본 패키지 관리자입니다. Node.js에서 사용 가능한 모듈들을 패키지화시켜 설치, 삭제, 업그레이드, 의존성 관리 등을 해주는 관리자인 것입니다. 정확히는 command-line client인 npm과 온라인 데이터베이스인 npm registry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command-line client를 npm이라고 생각하는데, 실제로는 npm registry까지 포함하여 npm이라고 말합니다. npm이 없었을 때에는 필요로 하는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서 직접 작성하거나 github를 통해 다운로드하여 사용해야 했습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나타난 것이 npm이.. 2020. 11. 15. [최신 웹 프론트엔드 개발환경 세팅] 1. Node.js란? 지난 몇 주간 자바스크립트와 관련된 내용을 다루면서, ES6(ECMAScript 2015) 문법이 여러 번 등장했습니다. ECMAScript가 표준화된 스크립트 언어이자, 자바스크립트가 이 표준을 따르고 있음에도 ECMAScript는 아직 많은 개발자에게 낯설게 느껴집니다. ECMAScript가 현재 ES10(ECMAScript 2019)까지 버전이 올라간 상태임에도, ES6+(ES6 이상의 버전)가 상용화되어 있지 않은 이유는 크게 아래와 같은 이유 때문입니다. 구형 브라우저에서 지원하지 않음(현재 모던 브라우저의 최신 버전의 경우 대부분 지원. 오래된 버전을 그대로 사용하는 사용자가 많음) 트랜스파일링이나 번들링 필요 아직 ES6+를 지원하지 않는 라이브러리들 구버전의 브라우저에서 지원하지 않는 문법.. 2020. 11. 15. 이전 1 2 3 4 5 6 7 8 ··· 36 다음